'CallCenterSyste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콜센터 용어 ACD 자동호분배시스템 (Automatic Call Distributor) 등 (0) | 2015.06.16 |
---|---|
콜센터 용어 PDS 등 (0) | 2015.06.16 |
콜센터 용어 ACD 자동호분배시스템 (Automatic Call Distributor) 등 (0) | 2015.06.16 |
---|---|
콜센터 용어 PDS 등 (0) | 2015.06.16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PDS 란? (0) | 2015.06.16 |
---|---|
콜센터 용어 PDS 등 (0) | 2015.06.16 |
유익한정보 > CTI 콜센터 관련 정보 및 용어 설명 | |
1. CTI 콜센터란? | |
CTI ( 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는 전화와 컴퓨터를 통합한다는 뜻으로 컴퓨터로 직접 전화를 걸고,받고, 전화에 관련된 정보가 컴퓨터에 자동 전달되고 하는 등의 기능이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예를 들면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전화라인으로 전송되는 발신자 전화번호가 컴퓨터로 전송되어 컴퓨터는 발신자 전화번호로 고객의 정보를 자동 조회하여 전화를 받기 전에 컴퓨터에 그 고객이 누구인지를 미리 화면에 디스플레이 시켜준다. 또한 하루에 200명에게 전화를 걸어야 하는 일이 있을 경우, 매번 전화기의 버튼을 누른다고 생각하면 고민이 매우 클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에서 마우스 버튼 한번 누르면 200건의 전화가 자동으로 걸려 편리한 업무를 볼 수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가능하게 한 것이 CTI 기술이고 이 기술을 응용한 콜센터가 CTI 콜센터이다. 바로가기 : CTI 콜센터 솔루션 | |
2. IPCC( IP컨택센터 )란? | |
IPCC ( Internet Protocol Contact Center )는 VoIP기술을 응용한 콜센터의 한 형태이다. 상담원은 IP전화를 사용하여 인터넷망이 구성되어 있는 어느 장소에서든 상담이 가능하다. 또한 아웃바운드를 별정통신사의 IP망을 이용하면 저렴한 전화비용도 절약 할 수 있다. IPCC로 콜센터를 구성하는 가장 큰 장점은 한곳에 집중해야 하는 기존 콜센터에서 분산 또는 재택근무를 통하여 운영경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현재 IPCC라고 구성되는 것은 상담원의 전화기만 IP폰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기존의 CTI콜센터와 큰 차별성을 보이고 있지 않다. 향후 IPCC는 IP망의 인프라 확대 및 장비의 경제성 확보, 콜센터 운영의 개념 확대 등으로 진정한 IPCC의 가치를 인정 받을 것이라고 본다. | |
3. VoIP란? | |
VoIP는 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인터넷상에서 음성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즉 전화통화를 기존의 전화망이 아닌 인터넷을 통하여 전화통화를 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인터넷 콜센터, IPCC에서 토대가 되는 주된 기술이다. | |
4. PDS란? | |
PDS는 Predictive Dialing System의 약자로 보통 예측 다이얼링 기법이라고 한다. 보통 PDS는 아웃바운드 콜센터에서 주로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아웃바운드 콜을 가능하면 최대로 해서 최대의 효과를 얻고자 하는 시스템이다. 예를 들면 전화를 걸 때 상담원이 10명이면 통화중,부재중이 50%인 경우에 15회선으로 전화를 걸어 상담원에게 연결하는 것이다. 이런 회선수 계산 및 거는 타임을 정하는 것은 여러가지 변수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담원 평균통화시간, 상담원수, 회선수, 통화중,부재중 확률, 기후,상품종류,고객 대상층 등의 변수에 따라서 아웃바운드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 시키는 시스템이다. | |
5. 스크린 팝업 이란? | |
스크린 팝업은 인바운드 콜센터에서 전화가 걸려오면 상담원 컴퓨터에 전화를 건 사람의 정보를 미리 디스플레이 시켜 주는 CTI 기능의 주된 기능이다. 이는 상담원이 고객이 누구인지를 미리 알고 전화를 응대하기 때문에 그것에 따라 적절히 상담을 하며 또한 다시 고객의 정보를 조회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기 때문에 상담시간이 그만큼 절약된다. |
PDS 란? (0) | 2015.06.16 |
---|---|
콜센터 용어 ACD 자동호분배시스템 (Automatic Call Distributor) 등 (0) | 2015.06.16 |
"라이선스를 제공할 원격 데스크톱 서버 라이선스 서버가 없으므로 원격 세션 연결이 끊어졌습니다."
윈도우 2008R2에서 위와 같은 메시지가 나온다.
위의 메시지가 나오는 이유는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의 CAL 라이센스의 임시기간인 120일이 지났거나
CAL 라이센스의 기간이 만료 되었기 때문이다.
즉 라이센스 서버를 활성화 후 CAL라이센스를 등록하면 위의 메시지는 해결된다.
하지만..난 단순히 관리 목적으로만 원격을 연결 할 것이기 때문에 원격데스크톱 서비스를 설치 할
필요도 CAL 라이센스를 별도로 구매 해서 입력 할 이유가 없다.
그래서 콘솔로 접속 후 서버역할에서 원격데스크톱 서비스를 삭제 하니 정상적으로 연결된다.
(이걸 왜 설치했지?)
역할 제거 후 서버 재부팅이 필요하지만, 구지 재부팅을 하지 않아도 연결은 할 수 있다. 단지 재부팅
을 하기 전에는 서버 역할 추가/제거를 할 수 없을 뿐.....
랜섬웨어 차단 배치파일 , RansomeWare deny batchfile (0) | 2017.05.17 |
---|---|
게시자를 확인 할 수 없기 때문에 Windows 에서 이소프트웨어를 차단했습니다. (0) | 2015.10.15 |
Windows 10, 보다 안전한 컴퓨팅 환경을 위한 핵심 기술, Device Guard (0) | 2015.09.23 |
해당 디렉터리 이동후 ./실행파일명.sh
TCPDUMP 사용법 (0) | 2015.09.06 |
---|---|
리눅스 메모리 정리 (0) | 2015.08.15 |
Unix, Linux 에서 kill 명령어로 안전하게 프로세스 종료 시키는 방법 (0) | 2015.06.16 |
crontab 설정확인 및 로그 확인 (0) | 2015.06.16 |
리눅스에 랜카드 2개일때, default gateway 설정 (0) | 2015.06.16 |
![]() | |
![]() 갤럭시 노트 4 프로스트 화이트 | |
제조사 | 삼성전자 |
---|---|
슬로건 | 세상의 어떤 이야기도 그 시작은 펜으로부터 |
형태 | 바 (bar) |
시리즈 | 삼성 갤럭시 |
발매일 | ![]() 2014년 9월 26일 표준 모델 2014년 10월 17일 예정 |
운영 체제 | 안드로이드 4.4.4 킷캣 |
UI/UX | 터치위즈 네이처 UX 3.0 (4.4.4 ~ ) |
전원 | 착탈식 리튬 이온 배터리 3,220 mAh 3.85 V 약 12.4 Wh |
통신 방식 | N910H 및 공통 사항 와이파이 IEEE 802.11 a/b/g/n/ac (주파수 대역 : 2.4/5 GHz 채널 대역폭 : 80 MHz 전송 속도 : 867 Mbps 다운로드 (2 x 2MIMO)) A-GPS 글로나스 NFC DLNA 블루투스 4.1 LE 적외선 통신 2G 4중 대역 GSM (8대역 850/10대역 900 MHz/13대역 1.8/14대역 1.9 GHz) 2G 진화형 GPRS 114 Kbps 다운로드 EDGE 384 Kbps 다운로드 3G 4중 대역 UMTS (WCDMA) 1.9 Mbps 다운로드/384 Kbps 업로드 (5대역 850/8대역 900 MHz/2대역 1.9/1대역 2.1 GHz) 3G 진화형 HSDPA 14.4 Mbps 다운로드/384 Kbps 업로드 HSUPA 14.4 Mbps 다운로드/5.76 Mbps 업로드 HSPA+ 21.1 Mbps 다운로드/5.76 Mbps 업로드 DC-HSDPA 42.2 Mbps 다운로드 N910F/C 9중 대역 LTE 어드밴스트 300 Mbps 다운로드/50 Mbps 업로드 (17대역 700/20대역 800/5대역 850/8대역 900 MHz/4대역 AWS (1.7)/3대역 1.8/2대역 1.9/1대역 2.1/7대역 2.6 GHz) N910U 8중 대역 LTE 어드밴스트 300 Mbps 다운로드/50 Mbps 업로드 (28대역 700/5대역 850/8대역 900 MHz/4대역 AWS (1.7)/3대역 1.8/2대역 1.9/1대역 2.1/7대역 2.6 GHz) N910G 10중 대역 LTE 어드밴스트 300 Mbps 다운로드/50 Mbps 업로드 (FDD - 28대역 700/5대역 850/8대역 900 MHz/4대역 AWS (1.7)/3대역 1.8/2대역 1.9/1대역 2.1/7대역 2.6 GHz) (TDD - 40대역 2.3/38대역 2.6 GHz) |
연결 방식 | USB 2.0 USB 온더고 MHL 3.0 HDMI (마이크로 USB B타입/HDMI D타입 통합 단자) 3.5 mm 미국식 TRRS (4극) 폰커넥터 오디오 단자 |
AP | N910H/C/U 삼성전자 엑시노스 7 옥타(7410) N910F/G 퀄컴 스냅드래곤 805 APQ8084 |
CPU | N910H/C/U 1.9 GHz 쿼드 코어 + 1.3 GHz 쿼드 코어 (big.LITTLE) N910F/G 퀄컴 크레이트 450 아키텍처 약 2.7 GHz 쿼드 코어 |
보조 프로세서 | N910F/G 퀄컴 헥사곤 QDSP6V5A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600 MHz 싱글 코어) |
GPU | N910H/C/U ARM 홀딩스 말리 T760 MP8 N910F/G 퀄컴 아드레노 420 500 MHz |
사운드 | 공통 사항 음원 재생 능력 24 비트 192 kHz 음장 사운드 얼라이브 N910H/C/U 사운드 칩셋 울프슨 WM5110 N910F/G 사운드 칩셋 퀄컴 WCD9320 |
센서 |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근접 센서 RGB 센서 적외선 센서 온도/습도 센서 기압 센서 제스처 센서 홀 센서 (S 뷰커버 감지) 지문 인식 센서 심박 센서 자외선 센서 산소 포화도 센서 |
화면 | 약 5.7" (14.39 cm) 쿼드 HD 슈퍼 AMOLED (AM OLED) RG-BG 펜타일 매트릭스 픽셀 구조 해상도 1,440 x 2,560 (1440p HD/2K/WQHD, 화소 밀도 약 518.5 ppi) 16777216 (224(24 비트)) 색상 와콤 입력 모듈 |
외부 화면 | HDMI |
입력 방식 | 정전식 감응 터치 스크린 S 펜 |
RAM | 공통 사항 용량 3 GB 종류 LPDDR3 SDRAM N910H/C/U 처리속도 약 17.1 GB/s (32 비트 듀얼 채널 1,066 MHz) N910F/G 처리속도 25.6 GB/s (32 비트 쿼드 채널 800MHz) |
내장 메모리 | 종류 eMMC 5.0 용량 32 GB 64 GB |
외장 메모리 | 마이크로SD/SDHC/SDXC (최대 128 GB 지원) |
SIM 카드 | 마이크로SIM 카드 |
앞면카메라 | 센서 정보 센서 종류 BSI CMOS 이미지 센서 화소 370만개 조리개 f/1.9 촬영 성능 최대 1080p HD급 동영상 촬영 최대 30 fps급 동영상 촬영 고정 초점 |
뒷면카메라 | 센서 정보 센서 종류 소니 IMX240 BSI CMOS 이미지 센서 화소 1.12 μm 1600만개 판형 1/2.6 " 조리개 f/2.2 촬영 성능 최대 2160p HD급 동영상 촬영 최대 60 fps급 동영상 촬영 최대 5,312 x 2,988급 사진 촬영 자동 초점/수동 초점 전자식 손떨림 방지/광학식 손떨림 방지 플래시 LED |
크기 | 가로 78.6 mm 세로 153.5 mm 두께 8.5 mm |
무게 | 176 g |
이전 기종 | 갤럭시 노트 3 |
후속 기종 | 갤럭시 노트 5(2015.10월예정) |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C%82%BC%EC%84%B1_%EA%B0%A4%EB%9F%AD%EC%8B%9C_%EB%85%B8%ED%8A%B8_4
[디자인]
디자인은 이전 기종인 노트3와 비슷하다고 하나 디자인 옆테두리가 다이아몬드 처럼 깎인 부분이 특징인 것 같습니다. 176 g 이지만 실제 만져보면 그렇게 무거운것 같지는 않습니다. 가볍다는 느낌이 들더군요. 그리고 바지 앞주머니에 넣고 앉을 수는 없을 겁니다. ㅎ
디자인이 조금 더 이뻐지긴 한것 같습니다.
[필압]
필압이 2048 로 노트3보다 두배 더 세밀해졌다고 합니다. 필자도 직접 사용 해봤는데 펜으로 종이에 쓰는것처럼 정말 부드럽더군요.
[카메라]
사진 성능은 美 IT매체 폰아레나의 카메라 성능 블라인드 테스트서 1위를 차지했다고 합니다.
![]() | ||
▲ (자료출처: 폰아레나) |
![]() | ||
▲ (사진출처: 폰아레나) |
![]() | ||
▲ (사진출처: 폰아레나) |
![]() | ||
▲ (사진출처: 폰아레나) |
출처 : http://www.consumerwide.com/news/articleView.html?idxno=1588
[기능]
그리고 美 비지니스 위크 지에서는 노트4 에서는 되는데 아이폰6 에서는 안되는 13가지를 발표 했다고 합니다.
△심박 체크 모니터
뒷면에 내장된 센서에 손가락을 갖다대면 현재의 심장박동수가 화면에 표시된다.
△배터리 교체
뒷커버를 벗기면 배터리를 바꿔 낄 수 있다.
△SD카드 슬롯
마이크로SD 카드의 삽입이 가능한 슬롯이 있어 저장공간의 확장이 가능하다.
△리모콘
이어폰잭 삽입구 옆에 위치한 적외선 송신구를 통해 TV 등의 리모콘으로 대용 가능하다
△멀티 앱
일부 앱에 한정되긴 하나, 한번에 두개의 앱 화면을 볼 수 있다.
△데스크톱 기능
마치 PC에서 윈도창을 구현하듯, 앱 크기를 조정해 여러 앱을 동시에 한 화면에서 작업할 수 있다.
△스타일러스 펜
스타일러스 펜으로 화면에 그림을 그리거나 메모할 수 있다.
△섬세 작업
스타일러스 펜은 아이폰에서 손가락으로만 하는 것보다 훨씬 섬세한 작업을 가능케 한다.
△빠른 충전
월플러그는 충전시간을 대폭 단축시킨다
△전원 절약 모드
흑백 화면과 통화, 인터넷만 기능이 한정된 ‘초절전 모드’는 구동 시간을 획기적으로 늘려준다.
△한 손 조작
홈버튼 등을 화면의 한쪽으로 별도 배치해 한 손으로도 모든 버튼 조작이 가능하다
△화면 축소
한 손 조작을 위해서라면 전체 화면 자체를 작게 조작하는 기능도 있다.
△키보드 축소
한 손 타이핑이 어렵다면 키보드를 줄이는 것도 방법이다. 노트4에서는 가능하다.
출처 : http://www.etnews.com/20141017000244
[디스플레이]
또한 디스플레이는 역대최고라 할수 있을 것 같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갤럭시노트4용 쿼드HD(Quad HD:2560×1440) 슈퍼아몰레드가 미국 디스플레이 전문가그룹 디스플레이메이트 평가에서 종합평가점수 'Excellent A'를 받았다. 이는 기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평가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메이트가 16일 공개한 갤럭시노트4 슈퍼아몰레드의 화질평가 결과에 따르면, 이 제품은 디스플레이 주요 평가항목인 '색 정확도', '해상도', '밝기', '야외시인성' 등에서 역대 최고수준을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메이트는 "갤럭시노트4용 슈퍼아몰레드가 갤럭시노트3의 성능을 크게 앞섰고, 지금까지 평가한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또 "AMOLED 디스플레이가 LCD를 능가하는 최고의 디스플레이가 됐다"며 "갤럭시노트4의 쿼드HD 슈퍼아몰레드 디스플레이는 현재까지 출시된 갤럭시 스마트기기 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이라고 평가했다.
색 정확도와 색 영역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색 정확도는 1.5 JNCD
(Just Noticeable Color Difference: 색 정확도의 단위로 수치가 낮을수록 정확도가 높다는 뜻이며 3.5JNCD 이하를 'Very Good'으로 평가함, 'Basic' 스크린 모드 기준)로 현존하는 디스플레이 중 최고를 기록했다. 디스플레이메이트는 '원본과 구분할 수 없는 완벽에 가까운 수준'이라며 '소비자들은 온라인 쇼핑 시 사진과 달라 제품을 반품할 위험이 줄어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http://www.asiae.co.kr/news/view.htm?sec=it99&idxno=2014091609012815300
화면 기술은 펜타일 매트릭스(PenTile matrix)는 삼성전자가 발명 특허를 가지고 있는 하부픽셀기술이다.
펜타일RGBG는 인간이 초록색에 더 민감하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해상도의 손실을 줄인다. 빨간색과 파란색은 이웃 픽셀과 합쳐서 하나의 서브픽셀로 만든다. 전통적인 픽셀 배치보다 1/3이 적은 서브픽셀을 사용하게 된다. 펜타일은 명목 해상도보다는 덜 선명하게 보이고 같은 서브픽셀수의 전통적인 RGB보다는 선명해보인다
출처 :http://ko.wikipedia.org/wiki/%ED%8E%9C%ED%83%80%EC%9D%BC_%EB%A7%A4%ED%8A%B8%EB%A6%AD%EC%8A%A4
Cannot make to re-apply for adsense content account 애드센스 신청서 다시 제출 하는 방법 (0) | 2015.06.16 |
---|---|
FSB 대역폭 계산 (0) | 2015.06.16 |
콜센터 용어 ACD 자동호분배시스템 (Automatic Call Distributor) 등 (0) | 2015.06.16 |
BMT란? (1) | 2014.03.14 |
소프트웨어 노임단가 (0) | 2014.03.11 |
검색을 해 보니 거의 모든 블로그가 프로세스 종료를 -9 signal 로 처리하라고 되어 있어서 kill 명령의 의미 및 안전하게 프로세스 종료 하는 법을 정리해 본다.
kill 은 용도에 맞지 않게 이름이 지어진 명령어중의 하나이다. 주요 용도는 event 가 발생했음을 프로세스에게 알리는 것이다. signal 의 종류는 /usr/include/signal,h 에 정리되어 있다. (실제 선언부는 OS 의 종류에 따라 signal.h 에서 별도로 include 할 수도 있다)
Un*x 는 프로그램에서 signal 종류 별로 signal handler 를 지정할 수 있는데 유일하게 handler 를 지정할수 없는 시그널은 SIGKILL(9), SIGSTOP(19) 두 개의 시그널이다.
제대로 구현한 프로그램이라면 종료의 의미로 사용되는 signal (INT, HUP, TERM 등)을 받으면 resource 를 정리하는 cleanup 코드를 실행하고 종료하게 되어 있을 것이다.
프로세스 종료시 kill -9 PID 를 권장하는 않는건 제대로 signal handler 를 구현한 프로그램이라도 cleanup 작업을 하지 못하고 바로 종료되어 버릴수 있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추천하는 방법은 먼저 kill -TERM PID 나 kill -HUP PID 같이 TERM(Termination) 나 HUP(Hangup) signal 을 날리는 것이다.
위의 signal을 날리면 제대로 된 프로그램은 보통 cleanup 코드를 수행하고 종료하게 구현되어 있다.
Java JRE 도 TERM 이면 깨끗하게 종료되니 tomcat 이나 기타 java 관련 프로그램 종료시 KILL(9)을 먼저 보내지 말고 두 세번 정도 TERM(15) 보내는 방법을 추천한다. (Linux의 service 명령어도 TERM 을 보내보고 안 죽으면 KILL 을 보내게 구현되어 있다)
여러개의 프로세스를 종료시킬 경우 다음과 같은 awk script 를 이용해서 종료할 수 있다.
httpd 를 종료할 경우 다음과 같이 수행하면 된다.
위의 script 를 두 세번 실행해 보고 종료가 되지 않는 process 가 있다면 SIGTERM 대신 SIGKILL 을 사용하면 된다.
모든 child process 까지 종료시키는 스크립트가 필요하다면 StackOverflow의 Best way to kill all child processes 쓰레드를 참조하자.
리눅스 메모리 정리 (0) | 2015.08.15 |
---|---|
linux sh 파일 실행 방법 (0) | 2015.06.16 |
crontab 설정확인 및 로그 확인 (0) | 2015.06.16 |
리눅스에 랜카드 2개일때, default gateway 설정 (0) | 2015.06.16 |
리눅스 CPU (32bit,64bit 확인 법) (0) | 2015.06.16 |
crontab 로그 확인
#cat /var/log/cron
crontab 설정 확인
#cat /var/spool/cron/root
#crontab -l
linux sh 파일 실행 방법 (0) | 2015.06.16 |
---|---|
Unix, Linux 에서 kill 명령어로 안전하게 프로세스 종료 시키는 방법 (0) | 2015.06.16 |
리눅스에 랜카드 2개일때, default gateway 설정 (0) | 2015.06.16 |
리눅스 CPU (32bit,64bit 확인 법) (0) | 2015.06.16 |
linux iptables 적용방법 (0) | 2015.06.16 |
안녕하세요. 제 리눅스에 랜카드가 2개 있는데요
eth0는 192.168.10.0/24 네트워크이고
eth1은 192.168.1.0/24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외부로 나가는 패킷을 eth0를 통해서 나가도록 설정하고 싶은데
아래처럼 default gateway가 eth1로 설정되어서 eth1로 나가고 있습니다.
[root@fujitsu ~]# route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1.0 * 255.255.255.0 U 0 0 0 eth1
192.168.10.0 * 255.255.255.0 U 0 0 0 eth0
link-local * 255.255.0.0 U 1002 0 0 eth0
link-local * 255.255.0.0 U 1003 0 0 eth1
default 192.168.1.1 0.0.0.0 UG 0 0 0 eth1
그래서 아래처럼 명령을 내렸습니다.
$ route add default gw 192.168.10.1 eth0
결과는 아래와 같습니다.
[root@fujitsu ~]# route
Kernel IP routing table
Destination Gateway Genmask Flags Metric Ref Use Iface
192.168.1.0 * 255.255.255.0 U 0 0 0 eth1
192.168.10.0 * 255.255.255.0 U 0 0 0 eth0
link-local * 255.255.0.0 U 1002 0 0 eth0
link-local * 255.255.0.0 U 1003 0 0 eth1
default 192.168.10.1 0.0.0.0 UG 0 0 0 eth0
default 192.168.1.1 0.0.0.0 UG 0 0 0 eth1
이렇게 했는데.. 여전히 외부로 나가는 패킷이 eth1(192.168.1.1)을 통해 전송됩니다.
eth0를 통해서 외부로 나가도록 할수는 없을까요?
감사합니다.
Unix, Linux 에서 kill 명령어로 안전하게 프로세스 종료 시키는 방법 (0) | 2015.06.16 |
---|---|
crontab 설정확인 및 로그 확인 (0) | 2015.06.16 |
리눅스 CPU (32bit,64bit 확인 법) (0) | 2015.06.16 |
linux iptables 적용방법 (0) | 2015.06.16 |
리눅스 프로세스 종료 방법 (0) | 2015.06.16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 |
콜센터용어사전 |
Cannot make to re-apply for adsense content account 애드센스 신청서 다시 제출 하는 방법 (0) | 2015.06.16 |
---|---|
FSB 대역폭 계산 (0) | 2015.06.16 |
갤럭시 노트4 Review (0) | 2015.06.16 |
BMT란? (1) | 2014.03.14 |
소프트웨어 노임단가 (0) | 2014.03.11 |
default 라우팅
default 라우팅 원래있던걸 지워주세요
언제나 삽질 - [url=http://http://tisphie.net/typo/]http://tisphie.net/typo/[/url]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url]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또는 gateway eth0의
또는 gateway eth0의 metric을 높여 버리시면 eth1이 우선이 됩니다.
답변감사합니다.
=====================
두분 답변 감사합니다. ^^
메트릭값을 높여서 처리할 수도 있겠지만
default gw는 한개만 있는게 정상일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IP 받아올때 default gw를 모두 지워버린 후
다시 설정하는 식으로 변경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dhclient 로 동적으로 IP를 받아오는 건데...
ps 해보니깐 아래처럼 나오네요
$ ps -ef
.... 생략
/sbin/dhclient -d -sf /usr/libexec/nm-dhcp-client.action -pf /var/run/dhclient-eth1.pid -lf /var/lib/dhclient/dhclient-eth1.lease -cf /var/run/nm-dhclient-eth1.conf eth1
.... 생략
IP를 받아온 후에 실행되는 스크립트가 /usr/libexec/nm-dhcp-client.action 이네요
근데 스크립트 파일이 아니라.. 바이너리파일이네요
죄송합니다만.. dhclient 실행 옵션은 어디서 조정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nm-dhcp-client.action이 무슨일을 하는지도 모르겠구..에휴
=====================
dhclient.conf 에서
dhclient.conf 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eth1쪽에 router정보를 요청하지 않으면 되겠네요.
man dhclient.conf 참조.
언제나 삽질 - [url=http://http://tisphie.net/typo/]http://tisphie.net/typo/[/url]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url]
언제나 삽질 - http://tisphie.net/typo/
프로그래밍 언어 개발 - http://langdev.net
답변 감사합니다.
=====================
답변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출처 :https://kldp.org/node/118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