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pwd 

하면 현재 경로가 표시 됩니다. 

그리고 현재 경로의 포인터는 

./

이렇게 씁니다. 

 

 


ssh 명령설명

22번 포트번호를 통해서 원격지 서버를 안전하게 제어할수 있는 프로토콜

ssh 사용방법

ssh userid@아이피또는도메인

ex1 : ssh userid@192.168.0.2
# 기본 포트(22) 지정해서 접속하기

ex2 : ssh userid@192.168.0.2 -p 999
# 특정 포트(999) 지정해서 접속하기


scp 명령설명

1. 타서버끼리 다이렉트로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복사프로그램이다. 다이렉트로 데이타를 복사하므로 wg et, ftp 프로그램보다 
전송속도(평균 10MB/s)가 상당히 빠르다.
2. scp명령은 서로 다른 컴퓨터끼리(명령어가 있다고 가정:보통리눅스) 데이터를 복사시키는 명령이다.

scp 사용방법

※ scp 명령을 실행해서 사용가능한 상태인지 체크한다.

scp -r -p zetgame.co.kr.tar.gz test@아이피또는도메인:/home/zetgame/www
- 현재 경로에 zetgame.co.kr.tar.gz파일을 아이피 또는 도메인에 해당하는 서버의 test 계정에 속해진 /home/zetgame/www 
경로로 복사한다.


scp * 111.222.333.444:/home/lee
-- 현재 위치에 있는 모든 파일을 111.222.333.444 서버의 /home/lee 폴더로 root 계정권한으로 복사시킨다.

scp * test@111.222.333.444:/home/lee
-- 현재 위치에 있는 모든 파일을 111.222.333.444 서버의 /home/lee 폴더로 test 계정권한으로 복사시킨다.

scp test@test.co.kr:/home/test.co.kr/test.sql ./
-- 원격지 test.co.kr 서버에서 test 계정권한으로 원격지 /home/test.co.kr/ 경로에 원격지 test.sql 파일을 현재 서버의 경로에
복사시킨다.

※ 같은 서버끼리도 scp 명령이 가능하나 ,웬만하면 cp 명령을 사용합시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파일 이름 변경 방법  (0) 2016.03.12
apm 버젼 확인 명령어  (0) 2015.12.10
ls 명령의 매뉴얼  (0) 2015.11.05
리눅스 DNS Server 구성  (0) 2015.09.24
리눅스 기초 명령어  (0) 2015.09.17

ls 명령의 매뉴얼

NAME

ls, dir, vdir - 경로의 내용을 나열한다.

SYNOPSIS

ls [-abcdfgiklmnpqrstuxABCFGLNQRSUX1] [-w cols] [-T cols] [-I pattern] [--all] [--escape] [--directory] [--inode] [--kilobytes] [--numeric-uid-gid] [--no-group] [--hide-control-chars] [--reverse] [--size] [--width=cols] [--tabsize=cols] [--almost-all] [--ignore-backups] [--classify] [--file-type] [--full-time] [--ignore=pattern] [--dereference] [--literal] [--quote-name] [--recursive] [--sort={none,time,size,extension}] [--format={long,verbose,commas,across,vertical,single-column}] [--time={atime,access,use,ctime,status}] [--help] [--version] [--color[={yes,no,tty}]] [--colour[={yes,no,tty}]] [name...]

DESCRIPTION

이 문서는 더이상 최신 정보를 담고 있지않다그래서몇몇 틀릴 경우도 있고부족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완전한 매뉴얼을 원하면, Texinfo 문서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 매뉴얼 페이지는 ls 명령의 GNU 버전에 대한 것이다dir과 vdir 명령은 ls 명령의 심블릭 파일로 그 출력 양식을 다르게 보여주는 풀그림들이다인자로 파일이름이나경로 이름이 사용된다경로의 내용은 초기값으로 알파벳 순으로 나열된다ls의 경우는 출력이 표준 출력(터미날 화면)이면세로로 정열된 것이 가로로 나열된다다른 방식의 출력이면 한줄에 하나씩 나열된다dir의 경우는초기값으로 ls와 같으나모든 출력에서 세로로 정열해서 가로로 나열한다.(다른 방식의 출력에서도 항상 같음vdir의 경우는,초기값으로 목록을 자세히 나열한다.



OPTIONS

-a, --all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 `.'으로 시작하는 파일 들도 포함된다.

-b, --escape

알파벳 형식을 사용하는 파일 이름안에서 그래픽 문자가 아닌 문자들을 사용한다. C와 같이 여덟가지 역슬래쉬 문자(`\')와 함께 오는 문자들을 사용한다.

-c, --time=ctime, --time=status

파일 최근 변경 시간에 따라 정열 해서 보여준다자세한 나열(-l 옵션)이면그 파일의 최근 변경 시간을 보여준다.

-d, --directory

경로안의 내용을 나열하지 않고그 경로를 보여준다.(이것은 쉘 스크립트에서 유용하게 쓰인다.)

-f

경로 내용을 정열하지 않는다이것은 디스크에 저장된 순으로 보여준다-a와 -U 옵션과 같은 뜻이며-l, -s, -t. 옵션과 반대뜻이다.

--full-time

시간을 간략히 표시하지 않고모두 보여 준다.

-g

무시유닉스 호환을 위해서 있음.

-i, --inode

파일 왼쪽에 색인 번호를 보여준다.

-k, --kilobytes

파일 크기가 나열되면, kb 단위로 보여준다이 옵션은 POSIXLY_CORRECT 환경 변수를 무시한다.

-l, --format=long, --format=verbose

파일 나열에 있어파일 형태사용권한하드링크 번호, owner 이름, group 이름파일 크기시간(따로 지정하지 않으면 파일이 만들어진 날자다)을 자세하게 나열한다시간은 여섯달 이전 것이면시간이 생략되고파일의 연도가 포함된다.

-m, --format=commas

파일을 가로로 나열한다가로로 나열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나열한다.

-n, --numeric-uid-gid

이름의 나열에서 UID,GID 번호를 사용한다.

-p

파일 형태를 지시하는 문자를 각파일에 추가한다.

-q, --hide-control-chars

파일 이름에 그래픽 문자가 아닌 것이 있으면, `?'로 표시한다.

-r, --reverse

정열 순서를 내림차순으로 한다.

-s, --size

파일 크기를 1Kb 단위로 나타낸다. POSIXLY_CORRECT 환경 변수가 지정되면, 512b 단위로 지정된다.

-t, --sort=time

파일 시간 순으로 정열한다최근 파일이 제일 먼저.

-u, --time=atime, --time=access, --time=use

파일 사용 시간 순으로 정열한다자세한 나열이면시간 표시는 만들어진 날자대신사용된 날자를 보여준다.

-x, --format=across, --format=horizontal

정열 방식을 가로로 한다.

-A, --almost-all

`.', `..' 경로를 제외하고 디렉토리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

-B, --ignore-backups

파일 끝이 `~'인 파일은 목록 나열에 제외된다.

-C, --format=vertical

정열 방식을 세로로 한다.

-F, --classify

파일 형식을 알리는 문자를 각 파일 뒤에 추가한다일반적으로 실행파일은 "*", 경로는 "/", 심블릭 링크는 "@", FIFO "|", 소켓은 "=", 일반적인 파일은 없다.

-G, --no-group

자세한 목록 나열에서 group 정보를 제외한다.

-L, --dereference

심블릭 링크 파일들을 그냥 파일로 보여준다.

-N, --literal

이름이 영문이 아닌 경우, C에서 사용하는 역슬래쉬 문자(`\')와 함께 사용하는 표기 대신 그대로 출력한다.

-Q, --quote-name

-N 옵션과 반대.

-R, --recursive

하위 경로와 그 안에 있는 모든 파일들도 나열한다.

-S, --sort=size

파일 크기가 가장 큰 것 부터 정열해서 나열한다.

-U, --sort=none

정열을 하지 않고디스크에 저장된 순서대로 보여준다이 옵션은 -f 옵션을 사용할 수 없다유닉스 용 ls -f -a 옵션은 가능하나, -l, -s, -t 옵션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X, --sort=extension

파일 확장자 순으로 정열한다확장자가 없는 파일이 제일 먼저 나열된다.

-1, --format=single-column

한 줄에 한 파일씩 나열.

-w, --width cols

가로 길이를 ols 값으로 지정한다기본적으로는 한 화면의 가로 값이된다또한 COLUMNS 환경 변수 값으로 지정할 수 있다초기값은 80이다.

-T, --tabsize cols

탭이 사용될 때cols 값으로 지정한다초기값은 8이다. 0으로 지정되면 탭 문자는 무시된다.

-I, --ignore pattern

pattern 패턴으로 지정된 파일들은 목록에서 제외된다이때명령행에서 그 파일이 지정되면 물론 나열된다.

--color, --colour, --color=yes, --colour=yes

파일의 형태에 따라 그 파일의 색깔을 다르게 보여주는 기능한다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DISPLAY COLORIZATION 부분을 참조한다.

--color=tty, --colour=tty

--color 옵션과 같으나단지 표준 출력에서만 색깔을 사용한다이 옵션은 칼라 제어 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보기 풀그림을 사용하는 쉘 스크립트나명령행 사용에서 아주 유용하게 쓰인다.

--color=no, --colour=no

색깔 사용하지 않는다이것이 초기값이다이옵션은 색깔 사용을 이미 하고 있다면이 값을 무시한다.

--help

도움말을 보여주고 마친다.

--version

버전 정보를 보여주고 마친다.

 

DISPLAY COLORIZATION

--color 옵션을 사용할 때이 버전의 ls 명령은 파일 이름이나파일 형태에 따라 파일의 색깔별로 나열할 수 있다이 칼라화는 초기값으로 파일 형태에 따라서만 사용된다사용되는 코드는 ISO 6429 (ANSI)이다.

이런 초기 색깔 지정은 LS_COLORS (또는 LS_COLOURS환경 변수 지정으로 바꿀 수 있다이 변수들의 형식은 termcap(5) 파일 포멧의 방식을 사용한다각 항목은 ":"으로 하며각 항목은 "xx=문자열"로 한다. xx에는 두개의 문자가 오는데여기서 사용할 수 있는 문자는 다음과 같다.

no       0       파일 이름이 아닌 일반 텍스트

fi       0       일반 파일

di       32      경로

ln       36      심블릭 링크

pi       31      FIFO(파이프)

so       33      소켓

bd       44;37   블럭 장치

cd       44;37   캐릭터 장치

ex       35      실행 파일

mi       (없음)  잃어버린 파일 (초기값은 fi)

or       (없음)  심블릭 링크 대상이 없는 파일(초기값은 ln)

lc       \e[    왼쪽 코드

rc       m       오른쪽 코드

ec       (없음)  마침 코드 (lc+no+rc로 바뀜)



색깔을 바꿀 경우는 그 해당 변수만 바꾸면 된다.

파일 이름은 파일의 확장자에 따라 색깔을 지정할 수 있다. LS_COLORS 환경 변수에 포함하면 되고그 사용법은 위와 같다문법은 "*ext=문자열"이다예를 들어, C 소스 파일을 파란색으로 지정하려면, "*.c=34"이다.

제어 문자는 C에서와 갈이 `\'문자로 시작하는 문자를 사용하거나, stty와 같이 `^'문자로 시작하는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C 스타일일 경우는 \e Esc, \_ 공백문자, \? Delete 이다추가로, \ escape 문자는 \, ^, :, =의 초기 처리 방식을 무시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각 파일은 <색깔값> <파일이름형태로 지정 된다만약 코드를 지엉하지 않으면가 대치된다이 방법은 보다 많은 변환을 하지만 일반적인 방법은 아니다왼쪽오른쪽마지막 코드는 일반적인 ISO 6429 코드를 지원하지 않는 터미날을 위한 값으로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사용할 필요가 없다.

ISO 6429 코드일 경우 사용될 수 있는 코드값은 다음과 같다. (물론 lcrcec 값은 제외된다.)

 0     초기 색깔로 다시 돌린다.

 1        강조색

 4        밑줄

 5        깜빡이는 글자.

30        까만색 전경

31        빨강 전경

32        녹색 전경

33        노랑(또는 갈색전경

34        파랑 전경

35        보라 전경

36        청록색 전경

37        흰색(또는 회색전경

40        까만색 배경

41        빨강 배경

42        녹색 배경

43        노랭(또는 갈색배경

44        파랑 배경

45        보라 배경

46        청록색 배경

47        흰색(또는 회색배경

모든 명령이 모든 시스템이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제대로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몇 터미날은 초기 마지막코드(ec)가 인식되지 않을 수 있다만약색들을 사용했다면, no, fi 값을 0으로 지정해 초기값으로 되돌려 놓아야 한다.

BUGS

BSD 시스템에서는, -s 옵션이 HP-UX 시스템으로 부터 NFS 마운트된 파일을 위한 파일 크기가 반으로 잘못 보여진다고 한다. HP-UX 시스템에서는, BSD 시스템으로 부터 NFS 마운트된 파일을 위한 파일의 크기가 반대로 두배로 나타난다이런 현상은 HP-UX ls 풀그림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영어권 문자셋을 사용할 경우는 별 문제가 없지만한국어와 같이 2바이트 문자권에서는 자국어로 된 파일 이름을 보기 위해 특별한 옵션을 지정해 주어야한다
``-N --color=tty'' 
옵션이 그 옵션이다.

 

 

lsattr 의 매뉴얼

 

NAME
       lsattr  -  list file attributes on a Linux second extended
       file system
 
SYNOPSIS
       lsattr [ -RVadv ] [ files...  ]
 
DESCRIPTION
       lsattr lists the file attributes on a second extended file
       system.
 
OPTIONS
       -R     Recursively  list  attributes  of  directories  and
              their contents.
 
       -V     Display the program version.
 
       -a     List all files in directories, including files that
              start with `.'.
 
       -d     List  directories  like  other  files,  rather than
              listing their contents.
 
       -v     List the files version.
 
AUTHOR
       lsattr has been written by Remy  Card  <card@masi.ibp.fr>,
       the developer and maintainer of the ext2 fs.
 
BUGS
       There are none :-).
 
AVAILABILITY
       lsattr  is  part of the e2fsprogs package and is available
       for anonymous ftp from tsx-11.mit.edu in  /pub/linux/pack-
       ages/ext2fs.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m 버젼 확인 명령어  (0) 2015.12.10
리눅스 SSH 명령어  (0) 2015.11.12
리눅스 DNS Server 구성  (0) 2015.09.24
리눅스 기초 명령어  (0) 2015.09.17
Fatal error: Class 'mysqli' not found  (0) 2015.09.17

리눅스 DNS Server 구성하기.

아 이거 한다고 토 나왔음...


1. BIND 라이브러리 설치

# yum -y install bind

# yum -y install bind-utils

# yum -y install bind-libs

# yum -y install bind-chroot

# yum -y install bind-caching-nameserver

설치 확인.


2. IP확인


3. NETWORK 설정

# vi /etc/sysconfig/network

 ↓ 아래처럼 변경.

❈HOSTNAME은 Name서버로 쓸 이름으로 한다.


4. 보안관련 설정

 참고: 53번 포트를 모든 IP로 부터 허용한다는 설정입니다. 이 설정을 하지 않을 시 외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 vi /etc/named.caching-nameserver.conf

주석 제거

    


5. resolv.conf 파일 설정

 참고 : 자신의 System이 이용할 DNS를 지정함.

# vi /etc/resolv.conf

search 자신의 도메인 이름

첫 번째 nameserver 자신의 네임서버 IP (아까 ifconfig로 확인했던 IP)

두 번째 nameserver 첫 번째 실패 했을 경우 물어볼 네임서버 IP (여기서는 kornet)


6. hosts 파일 설정

 DNS를 거치지 않고 hosts파일의 IP를 보고 좀 더 빠르게 domain name으로 접속이 가능

# vi /etc/hosts

ifconfig에서 확인한 자신의 아이피를 입력하고 도메인 네임 설정.


7. host.conf 파일 설정



# vi /etc/host.conf



8. named.root 파일 다운.

 named.root파일은 root dns의 정보를 담고 있다.


9. Zone파일 생성하기

# cd /var/named/

# cp ./localhost.zone ./3cpc.net.zone

# cp ./localhost.zone ./119.168.192.zone       나는  154.104.222.zone  

참고 : 3번째 파일명

ifconfig에서 확인 IP(192.168.119.130)에서 D클래스를 빼고 C B A 클래스 순으로 적어준다.

119.168.192.zone



10. 생성한 Zone 파일 설정

# vi /var/named/3cpc.net.zone

앞에 ns, www, 1jo, 2jo, 3jo 이런건 오른쪽 아이피로 물어보면 ns.3cpc.net, www.3cpc.net, 1jo.3cpc.net, 2jo.3cpc.net...이런식으로 응답해주라는 것.

 

 

# vi /var/named/119.168.192.zone           (아까 생성한 파일)

   

걍 참고..

IN

 네트워킹 어드레스 클래스

SOA

 Start Of Authority, 권한이 시작됨을 의미

NS

 네임서버 리소스 레코드

A

 도메인에 IP주소를 주는 레코드

MX

 메일 익스체인저로 SMTP를 설정할 때 이용하는 레코드

CNAME

 하나의 IP 주소에 별칭으로 지정할 수 있는 레코드

PTR

 IP 주소에 대해 도메인으로 맵핑해 주는 레코드


11. 생성한 zone 파일 퍼미션 수정


12. 생성한 zone 파일 추가시키기

= # vi /etc/named.r*

파일 맨 아래에 빨간 내용 추가... 알다시피 님들이 설정한 걸로..

 

 

13. 링크 걸기..( 이부분은 시스템마다 다름)

# ls -al /var/named

했을 때...(링크 파일로 되어 있으면)

1번.

2번

1번은 그냥 지나가셈..

2번은 아래와 같이 합니다.


14. 서비스 실행

# service named restart


  

15. 방화벽을 열어줍시다..

원래는 명령어 치고 들어가서 해야하는데... 이상하게 안됨..그래서 UI를 이용합시다.zz

16. 확인

# nslookup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 SSH 명령어  (0) 2015.11.12
ls 명령의 매뉴얼  (0) 2015.11.05
리눅스 기초 명령어  (0) 2015.09.17
Fatal error: Class 'mysqli' not found  (0) 2015.09.17
IP Aliasing  (0) 2015.09.13

이제 설정이 모두 끝났으면, heartbeat을 실행한다.

[portos@smurfland ~]$ sudo /etc/init.d/heartbeat start
[portos@smurfland ~]$



smurfland.snu.ac.kr과 linux-smp 모두에서 위와 같이 heartbeat을 실행시킨다.
이제 smurfland.snu.ac.kr과 linux-smp는 크로스 케이블을 통하여 heartbeat을 주고 받는다.

제대로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테스트를 하였다.
제 3의 기계(211.111.63.105)에서 ping을 하였다. 그리고 이 때 ping 패킷이 실제로 smurfland.snu.ac.kr과 linux-smp 중 어느 것으로 보내지는지를 확인하였다.

[dhkim@voyage ~]$ ping 211.111.63.148
[portos@smurfland ~]$ sudo tcpdump dst host 211.111.63.148
[portos@linux-smp ~]$ sudo tcpdump dst host 211.111.63.148

위와 같이 실험을 해 본 결과 ping 패킷이 smurfland.snu.ac.kr로 보내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 primary가 고장나는 상황을 만들기 위하여 smurfland.snu.ac.kr의 네트웍을 끊어버렸다.

[portos@smurfland ~]$ sudo /etc/rc.d/init.d/network stop

그러자 잠시 후에 linux-smp에서 ping 패킷을 받기 시작했다.
제 3의 기계에서는 smurfland.snu.ac.kr의 네트웍이 끊어지더라도 계속 ping에 대한 응답을 받을 수 있었다.


다시 smurfland.snu.ac.kr의 네트웍을 복구하고, heartbeat을 실행시켰다.

[portos@smurfland ~]$ sudo /etc/rc.d/init.d/network start
[portos@smurfland ~]$ sudo /etc/init.d/heartbeat start

그러자 잠시 후에 다시 smurfland.snu.ac.kr이 ping 패킷을 받기 시작했다.
이렇게 linux-smp가 동작 중임에도 불구하고, smurfland.snu.ac.kr이 ping 패킷을 받게 되는 것은 heartbeat이 새로 실행되면서, arp 브로드캐스팅을 하기 때문이다.


끝으로 이 글을 올려주신 서상원님에게 감사를 표합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atal error: Class 'mysqli' not found  (0) 2015.09.17
IP Aliasing  (0) 2015.09.13
Heartbeat 설정하기 3  (0) 2015.09.13
Heartbeat 설치하기 2  (0) 2015.09.13
Heartbeat이란 무엇인가? 1  (0) 2015.09.13

이제 가장 중요한 설정하기이다. 설정화일이 있어야 하는 디렉토리는
/etc/ha.d
이다. 설정해야 할 화일은 세 가지가 있는데, ha.cf, haresources, authkeys 이다.
각 화일의 골격은 hearbeat-0.4.9/doc/ 아래에 있으니, 이 화일들을 /etc/ha.d 로 복사하여 수정하는 것이 편리하다.

[portos@smurfland ~/heartbeat-0.4.9/doc]$ sudo cp ha.cf haresources authkeys /etc/ha.d/

각각의 설정화일은 내가 설정한 것을 참조하기 바란다. 이것들은 소스에 포함된 문서에서 말하는 설정 방법과 거의 비슷하다. 
옵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설정화일의 주석을 참조하거나 소스를 직접 분석해 보기 바란다. (ha.cfharesourcesauthkeys)
Warning: 두 개의 기계에 설정화일은 완전히 동일하다. 


테스트에 사용된 기계는 펜티엄 III 866MHz, 램 256M 인 조립 PC(smurfland.snu.ac.kr)와 IBM Netfinity 4500R SMP 기계(linux-smp)였다. smurfland.snu.ac.kr과 linux-smp는 모두 DNS에 등록되지 않은 호스트 이름이다.
조립 PC의 경우에 'uname -n'이라고 치면 smurfland.snu.ac.kr 이라고 나오고, SMP 기계의 경우에는 'uname -n'이라고 치면 linux-smp 라고 나온다.
소스에 포함된 문서에서 'uname -n'이라는 명령을 주어서 화면에 나오는 것만 ha.cf의 node 항목에 넣으라고 하였다. 실제로 'linux-smp.snu.ac.kr'이라고 입력하면 어떤 결과가 발생되는지 실험해 보지 않았다. 궁금한 사람들은 한번쯤 해 봐도 말리지는 않겠다. 


그림. 설정 도식도

211.111.63.146은 smurfland.snu.ac.kr 호스트의 eth0 에 할당된 IP이고, 211.111.63.147은 linux-smp 호스트의 eth0 에 할당된 IP이다.
그리고 192.168.14.2는 smurfland.snu.ac.kr 호스트의 eth1 에 할당된 IP이고, 192.168.14.1은 linux-smp 호스트의 eth1 에 할당된 IP이다.
smurfland.snu.ac.kr 과 linux-smp 는 eth1끼리 크로스 케이블로 직접 연결되어 있다. 
위의 설정에서 primary는 smurfland.snu.ac.kr이고, standby는 linux-smp이다.
211.111.63.148은 eth0에 IP aliasing 되어 있다.


혹시 eth0와 eth1의 주소를 설정하는 방법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0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th1
화일을 적당히 고친 후,

[portos@smurfland ~]$ sudo /etc/rc.d/init.d/network restart

라고 해주면 eth0와 eth1의 주소를 바꿀 수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 Aliasing  (0) 2015.09.13
실행하기 4  (0) 2015.09.13
Heartbeat 설치하기 2  (0) 2015.09.13
Heartbeat이란 무엇인가? 1  (0) 2015.09.13
TCPDUMP 사용법  (0) 2015.09.06

  1. http://www.linux-ha.org/downlaod/에서 heartbeat의 소스를 다운받는다. 나는 버전 0.4.9를 다운받았다.

  2. 압축을 푼다.
    [portos@smurfland ~]$ tar xzf heartbeat-0.4.9.tar.gz
    [portos@smurfland ~]$ 
    
  3. 컴파일한다.
    [portos@smurfland ~]$ cd heartbeat-0.4.9
    [portos@smurfland ~/heartbeat-0.4.9]$ make
    [portos@smurfland ~/heartbeat-0.4.9]$
    
    'make rpm'을 하면 rpm으로 만들 수도 있다고 한다. 나는 개인적으로 rpm을 썩 좋아하지 않기 때문에 그냥 위와 같이 설치했다.

    그리고 C 라이브러리나 gcc 버전에 따라 컴파일이 잘 안 되는 경우도 있을지 모르겠다. 참고로 나는 레드햇리눅스를 기반으로 하는 와우리눅스 7.1을 사용하고 있으며, gcc 2.96, glibc 2.2.2, 커널은 2.4.5(이건 별로 상관이 없을 것 같지만...)를 사용하고 있다.
    나는 컴파일을 하다가 에러가 몇 가지 발생했다.
    heartbeat-0.4.9/stonith/expect.c 에서 CLK_TCK가 선언되지 않았다는 에러가 나왔는데, 이 화일에
    #include <time.h>
    를 추가로 인클루드하니까 이 문제가 해결되었다.
    heartbeat-0.4.9/heartbeat/hb_api.c 에서도 CLK_TCK가 선언되지 않았다는 에러가 발생했는데, 마찬가지로 이 화일에
    #include <time.h>
    를 추가로 인클루드하여서 문제를 해결했다.

    이런 에러가 모든 컴퓨터에서 발생한다고 생각되지는 않는다.

  4. 설치한다.
    [portos@smurfland ~/heartbeat-0.4.9]$ sudo make install
    [portos@smurfland ~/heartbeat-0.4.9]$
    
    설치를 하면 다음과 같은 디렉토리 밑에 각종 화일들이 설치된다.
    /etc/ha.d
    /usr/lib/heartbeat
    /var/run/ppp.d
    /var/lib/heartbeat
    /etc/logrotate.d
    /usr/doc/heartbeat
    

이제 설치는 끝났다. 여기까지는 아주 쉽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행하기 4  (0) 2015.09.13
Heartbeat 설정하기 3  (0) 2015.09.13
Heartbeat이란 무엇인가? 1  (0) 2015.09.13
TCPDUMP 사용법  (0) 2015.09.06
리눅스 메모리 정리  (0) 2015.08.15

heartbeat은 linux-ha 프로젝트에서 만든 툴이다. linux-ha 프로젝트의 목표는 리눅스 운영체제에 고가용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인터넷 상에서 상용 서비스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것들은 중간에 중단되는 일이 없이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특징을 고가용성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특징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중복되게 배치함으로써 가능하다. 

예를 들어 www.yahoo.com과 같은 회사는 http 서버가 잠시만 다운되어도 막대한 손실을 입을 수 있다. 이러한 회사는 http 서버를 2개(혹은 그 이상)를 둔다. 하나는 primary, 다른 하나는 standby이다. 평소에는 primary가 웹서버 역할을 하지만, primary가 고장이 나거나 갑자기 전원이 꺼지는 경우에는 standby가 primary 대신 웹서버의 역할을 한다. 이렇게 하면 외부에서 www.yahoo.com에 접속하는 사용자는 웹서버가 다운되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 하고, 평소처럼 접속할 수 있다.


그렇다면 primary에 고장이 발생했다는 사실을 standby가 알 수 있어야만 primary를 대신해서 웹서비스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어떻게 가능할까? 평소에 primary와 standby는 주기적으로 메세지를 교환한다. 이 메세지가 어느 시간 이상동안 도착하지 않으면 standby는 primary가 고장난 것으로 간주한다. 이 때 주고 받는 메세지를 heartbeat(심장 박동)이라고 한다. 위에서 이야기한 linux-ha 프로젝트에서 구현한 heartbeat이라는 툴은 이러한 메세지를 주고 받는 기능뿐만 아니라, 실제로 primary가 고장이 난 경우에 primary가 제공하던 서비스를 standby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도 포함되어 있다.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Heartbeat 설정하기 3  (0) 2015.09.13
Heartbeat 설치하기 2  (0) 2015.09.13
TCPDUMP 사용법  (0) 2015.09.06
리눅스 메모리 정리  (0) 2015.08.15
linux sh 파일 실행 방법  (0) 2015.06.16


리눅스 메모리 정리 명령어  Linux / IT정보 

2015.08.14. 16:17  수정  삭제

복사http://blog.naver.com/sizin/220450846640

전용뷰어 보기

명령어

  • pagecache 해제
echo 1 > /proc/sys/vm/drop_caches
  • dentries, inodes 해제
echo 2 > /proc/sys/vm/drop_caches
  • pagecache, dentries, inodes 모두 해제
echo 3 > /proc/sys/vm/drop_caches



실행예시

[root@zetawiki ~]# cat /proc/sys/vm/drop_caches
0
→ drop_caches의 기본값은 0 (=캐시 메모리를 drop하지 않음)
[root@zetawiki ~]# free -m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881       1183       2698          0        156        617
-/+ buffers/cache:        408       3472
Swap:         6063          0       6063
→ 버퍼 156MB, 캐시 617MB 사용중
[root@zetawiki ~]# echo 3 > /proc/sys/vm/drop_caches
[root@zetawiki ~]# cat /proc/sys/vm/drop_caches
3
→ drop_caches를 3으로 조정 (=pagecache, dentries, inodes 캐시 메모리 영역을 해제)


[root@zetawiki ~]# free -m
             total       used       free     shared    buffers     cached
Mem:          3881        365       3516          0          0         21
-/+ buffers/cache:        342       3538
Swap:         6063          0       6063
→ 버퍼 0MB, 캐시 21MB 로 줄어듬.


해당 디렉터리 이동후 ./실행파일명.sh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