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5&oid=008&aid=0003872279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7658112&memberNo=3326308

지금 전세계와 국내까지 워나크라이 라는 랜섬웨어가 확산되고 있다해서 올려봅니다.

브레인미디어 2017.01.09 (월)
뇌와교육건강생활오피니언뇌과학도서
실연에 대처하는 뇌의 자세
기자| 크게
페이스북트위터카카오톡카카오스토리


?슬픔이 당신에게 묻는다. ‘다시 사랑할 수 있을까?’ 과학이 밝힌 열정적 사랑의 최대 지속기간은 900일, 하지만 열정은 목욕물 식듯이 빠르게 식어간다. 사랑에 빠진 뒤 1년 후 열정의 50%가 감소한다. 이 시점에서 연인들은 헤어질 확률이 가장 높다. 과학은 ‘어떻게 사랑이 변하니?’라고 묻는 대신 ‘어떻게 사랑이 변하지 않니?’라고 묻는다.

달고도 쓴 사랑
이별을 예감할 때 스스로에게 묻게 된다. ‘무엇이 잘못되었지?’, ‘어떻게 되돌릴 수 있을까?’ 사람은 누군가에게 버림받으면 아이러니하게도 그 사람을 더욱 사랑하게 된다. 여기에는 생물학적 이유가 있다.

실연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의 수치를 높이고, 그로 인해 그 사람을 더욱 사랑하게 된다. 집착하게 된다. 보상받지 못하는 사랑은 불행하게도 그 강도가 셀수록 더 커지기 쉽다.

사랑은 그래서 중독이라고 불린다. 실제 미국 예시바대학교 루시 브라운 박사 팀은 이별한 지 얼마 되지 않으면서 여전히 옛 애인을 그리워하는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자기공명영상(f-MRI)촬영을 했다. 이들의 뇌 활성화 부위 중에는 약물중독과 관련 깊은 뇌의 영역도 보였다.

브라운 박사는 “사랑은 마약처럼 행복감과 고통을 함께 주는 중독증상의 하나라고 부를 수 있다”며 “사랑과 이별의 과정이 힘들지만 이 과정을 송두리째 견뎌내면서 삶의 자율성을 배우게 된다”고 말했다.

버림받은 분노
실연의 또 다른 면은 공격성이다. 사랑하는 사람에게 거절당하면 그 사람을 그리워하는 동시에 증오하게 된다. 그 이유는 뭘까? 뇌의 보상체계는 더 이상의 보상이 없다고 깨닫게 되면 공포 및 분노와 관련된 편도체가 자극된다.

예를 들어 고양이를 쓰다듬으면 고양이 뇌의 보상 체계를 자극시키기 때문에 고양이 기분이 좋아지지만, 쓰다듬던 손을 치우면 고양이는 돌아서서 물기도 한다. 고양이의 뇌가 더 이상의 보상이 없음을 깨닫고, 뇌의 편도체를 자극해 분노를 느끼기 때문이다. 충분히 사랑하지 않았다면 분노도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사랑의 반대말이 증오가 아니라 무관심이라는 말이 실제 맞는 말인 것이다.

최근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미국 미시간 대학교 에단 크로스 박사는 연인에게 가혹하게 거절당한 남녀 40명을 모집해서 자기공명영상을 촬영했다. 옛 연인의 사진을 보여주고 상처받았던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실험과 뜨거운 커피가 쏟아지는 가상 실험을 했는데, 그 결과 이별을 경험했을 때와 뜨거운 열을 가했을 때 뇌에서 반응하는 부위가 같았다.

크로스 박사는 “누군가에게 거절을 당해 더 이상 관계를 지속할 수 없다는 것은 단지 기분이 나쁜 것이 아니라 가슴에 큰 상처로 남는 것”이라고 말했다. 화상과도 같은 충격적인 상처에 분노하는 것은 그것이 마음이든 육체이든 자연스러운 반응일 것이다.

우울과 절망
사랑의 상실은 도파민의 결핍을 부르고, 이는 우울과 절망을 불러온다. 영국 BBC에서 출간한 《행복》에 따르면 별거는 평균적으로 평생 수입에서 약 2억 7천만 원이 줄어듦으로써 발생하는 괴로움과 맞먹는다.

특히 이혼을 한 경우 남성은 1년 정도면 원래의 상태를 회복하지만 여성은 그렇지 못하다. 배우자의 죽음은 소득이 3억 4천만 원이 줄어드는 괴로움과 맞먹는다. 미망인이 이전의 행복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데는 5~8년이 걸린다고 한다.

실연과 같이 매우 불쾌한 기분을 느낀 후에 매우 기쁜 일이 연속해서 일어나면 뇌는 어떻게 될까? 수학적으로 보자면 플러스 마이너스 해서 제로가 되겠지만, 뇌의 세계는 그렇지 않다고 《뇌와 마음의 정리술》의 저자 스키야마 다카시는 말한다.

강한 불쾌감과 강한 쾌감이 연속해서 일어나는 경우, 감정적인 기복이 너무 심해져 평형을 잃기 쉽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결과 냉정함을 잃고 극단적인 생각으로 치우치는 경우도 생긴다.

그런 사태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쾌감이든 불쾌감이든 강한 감정이 발생한 후에 거의 감정에 변화를 주지 않는 소소한 일들이나 업무, 공부를 하는 시간을 갖는 것이 좋다고 한다.

절대 해서는 안 되는 것 중의 하나가 침대에 가만히 누워 있는 것이다. 침대에 눕거나 앉아서 그 사람 생각에 빠져들어서는 안 된다. 생각을 하면 할수록 우울해지고 절망에 빠져 자살 충동을 느끼기 쉽기 때문이다.

실연의 상처를 아물게 하는 처방전
첫 번째, 단순하면서 가장 좋은 방법은 더 많은 보상, 더 많은 기쁨을 줄 새로운 상대를 만나는 것이다. 하지만 이미 누군가에게 길들여진 뇌는 쉽게 그런 상대를 찾지 못한다. 이 방법을 자유롭게 구사한다면 당신은 연애의 고수다.

두 번째, 금연을 선포한 사람들이 맨 먼저 하는 일이 담배와 재떨이를 쓰레기통에 버리는 일이듯, 사랑하던 사람과 연관된 모든 것들을 없앤다. 생각의 연결고리가 될 만한 것들은 최대한 없애는 것이 좋다.

세 번째, 엔도르핀과 도파민 수치를 다시 올려줄 대체제로 운동을 시작한다. 사랑의 금단현상을 피하기 위해서는 운동만큼 좋은 것이 없다. 부작용도 없다. 건강한 몸매는 새로운 사랑을 더 빨리 시작하도록 도움을 줄 수도 있다.

네 번째, 행복한 사람들과 어울린다. 좋아하는 친구들과 함께라면 더 좋을 것이다. 웃는 사람을 바라보면 자신의 얼굴도 저절로 그 사람의 얼굴을 흉내 내게 된다. 야외에서 햇볕을 쬐면서 만나면 더 좋다. 햇볕은 슬픔에 젖은 뇌를 보송보송 말려준다.

다섯 번째, 새로운 것, 흥미로운 것에 관심을 기울인다. 흥미를 느끼면 뇌의 도파민 수치가 올라가 기분이 좋아진다.

이 모든 처방전이 설령 당신을 치유하지 못하더라도 실망하지 말자. 사랑이 영원하지 않듯 상처도 영원하지 않으니 말이다. 시간 속에서 우리의 뇌는 차츰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고, 우리는 또다시 누군가를 사랑하게 될 것이다.

글·최유리 yuri2u@hanmail.net | 도움 받은 책·《사랑》 송웅달
우리 부부사이, 과연 안녕한 걸까?
실연의 고통의 크기는 육체의 고통과 같아
남과 여, 사랑하지만 싸울 수 밖에 없는 이유
오래 지속되는 관계에서 사랑이 살아남게 하는 방법
댓글 2댓글쓰기목록
천년의미소 댓글쓰기
2011-09-06 11:51
그옛날 7년 사귄 남자친구와 헤어지고 지하철에서 펑펑 울던 때가 생각이 나네요. 하도 우니까 앞자리에 앉아있던 어떤 언니(?)가 휴지를 한뭉치 쥐어주고 내리더라구요. 그러고 얼마 후에 단학수련시작했고, 너무 좋았어요. 내가 정말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느꼈고, 지금의 남편을 두번째 만나는 날 "이사람이다!" 느낌이 와서 결혼했습니다. 수련을 하니 사람보는 눈이 생겼나봐요. 지금 12년째 아주 잘 살고 있습니다.
1 / 1
[생활 인기기사]
대몽항쟁의 수도, 고려인들의 힘은 어디에?
10인 작가 기획전 'Between'
화가 최옥영 개인전 '일상과 욕망' 재조명
“흑성산에서 일출을 기원하다!”
미래를 바꿀 스마트 기기의 핵심기술 스마트 센서 어떻게 될까
[가장 많이 본 기사]
'어쩌면 별들이 너의 슬픔을 가져갈지도 몰라' 4주 연속 1위
나는 누구인가? 뇌를 알면 나를 안다
"10대, 꽃다운 나이에 아픔을 겪으신 위안부 할머니들을 기립니다."
[단월드 건강테크] 20~30대에도 급증하는 요통, 허리 운동으로 관리
형석중학교 학생들, "세계시민 교육으로 지구를 아끼게 되었어요"
전체기사 뇌와교육 건강•명상 생활
뇌과학 기획•테마 오피니언 추천도서
PC버전고객센터Copyright © brainmedia. All rights reserved.
http://www.brainmedia.co.kr/m/media/view.aspx?contIdx=7619&menuCd=


보도자료
방송대, 대학 인지도 및 이미지 분석 위한 대국민 온라인 인식조사 실시
스마일맨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5.06.18 13:22 댓글수0 공감수 12

방송대, 대학 인지도 및 이미지 분석 위한 대국민 온라인 인식조사 실시
- 경제성 갖춘 젊은 대학 이미지로 나타나


방송대가 대학의 전반적인 인지도 및
인식 상황을 알아보기 위한
‘대국민 온라인 인식조사’를 실시했다.

이번 인식조사는 전국의 20~60대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6월초에 일주일간 진행됐으며

방송대의 인지도, 이미지,
장·단점, 원격교육에 대한 생각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방송대에 대해 인지하고 있는 비율이
전체의 98.2%로 매우 높게 나타나 눈길을 끌었다.

특히 인천, 울산, 충북, 충남, 전남, 경북에서의 인지도는
100%를 기록해 우리 대학이 전국을 망라한
대표 온라인 교육 기관임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다.
.
<이미지1. 방송대를 알게 된 경로>

방송대를 알게 된 경로로는
‘방송대 관계자 이외의 가족이나 친구,
선후배 등의 지인들(27.1%)’이 가장 많았으며,

TV·라디오 광고(21.2%), 방송대 재학생 또는
졸업생을 통해(19.9%), 신문·잡지(13.4%),
인터넷광고(8.5%) 순으로 응답해

여전히 주변인을 통한 입소문이
우리 대학을 알리는 가장 중요한
소통 창구임을 알 수 있었다.
.
<이미지2. 방송대에 대한 이미지>

이어서 방송대의 이미지를 묻는 질문에는
전체의 63%가 ‘타 4년제 대학에 비해
경제적’이라고 답했으며,

실용적인 학문을 배운다(37.2%),
젊은 이미지이다(15.8%)의 순으로 인식하고 있어

방송대가 경제성과 실용성
두 가지 모두를 충족시키는
젊은 대학으로의 이미지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송대의 가장 큰 장점에 대해서는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학습할 수 있다(84.4%),
전국에 지역대학이 있어 접근성이 좋다(70.9%) 등의 항목이
상위에 올라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블렌디드 교육방식에 대한 호감도가 높은 것으로 파악 됐다.

윤병준 학생처장은 “대국민 인식조사를 통해
우리 대학에 대한 인지도와 이미지에 대해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며,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방송대만의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앞으로 다양한 홍보방안을 강구해 나갈 예정이다”라고 전했다.

'사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현 조코비치 잡았다  (0) 2018.01.23
비긴어게인 다시 보기 begin again beginus  (0) 2017.11.11
손흥민 5호골 터졌다  (0) 2016.01.21
이태원 지구촌축제  (0) 2015.10.17
조현영 알렉스  (0) 2015.10.16

http://www.sizin.xyz:8070/index.php

http://www.sizin.xyz:8090/index.php

김시진의 홈페이지 바로가기

김시진의 홈페이지2 바로가기

안녕하세요 !


 프린터를 보면  스캔설정에서  SMB 삼바를 이용한 파일 전송 기능이 있는데, 그 설정 방법을 알려 드리겠습니다. 

1. 우선 바탕화면이나 C 드라이버 등에 폴더를 생성 합니다. 

 다음과 같이 scan1 로 생성 후 속성 창을 엽니다.

그리고 컴퓨터의 hostname 과 공유이름인 폴더명 C1131 을 알아 두셔야 합니다. 



2. 윈도우 해당 폴더 속성창에서 3가지 항목의 설정을 변경해야 합니다.


1번 공유 에서는 Everyone 을 읽기/쓰기로 추가 합니다. 

2번  고급공유에서는 '공유' 항목에 체크 하시고 권한에 들어가 Everyone 허용에 모두 체크 합니다. 

 그리고 물론 적용 이나 확인 하셔야 겠죠 ㅎ

3번 은 아래 사진을 보시고 똑같이 하시면 됩니다. 다만 유의할 점은  '홈 또는 회사'와 '공용' 두가지 항목이 있다는 점입니다. 

저는 두가지 다 해줬습니다. 아마 처음에 네트워크 설정 할 때 그 두 가지중 하나를 선택하게 되어있는데 그 때 설정했던 항목을 수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아마 설정해줘야 할 게 많아 정리 해두지 않으면 바로 파일전송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을 겁니다. ㅎㅎ 나만 그런가? 

그리고 프린터 에 가셔서 주소록에 아까 알아두셨던 hostname 과 생성했던 폴더명을 입력해줍니다.

그렇게 하시고 해당 주소로 스캔 파일 전송을 하시면 스캔 했던 사진이 생성 폴더에 저장 될 겁니다!

이만 포스팅을 마칩니다. 

감사합니다. 

'O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한영 키 안될 때  (0) 2024.09.03
윈도우 active x 설정변경  (0) 2015.06.14
국민은행 공인인증서 경로 위치  (0) 2014.03.11
XP 공유폴더 암호 설정  (0) 2014.03.10

http://www.sizin.xyz:8090/index.php
김시진의 개인 홈페이지

김시진의 티스토리 <a href="http://sizin.tistory.com">

<img src=http://postfiles6.naver.net/20150926_165/sizin_1443263139808Ls9ay_JPEG/%B4%D9%BF%EE%B7%CE%B5%E5.jpg?type=w2></a>

이미지 URL은 사진에서 우클릭 해서 속성 클릭 하면 나오고 

위 소스 코드를 블로그 관리 > 레이아웃 위젯 설정 에서 해당 위젯을 만들고 넣어 주면 끝 

 


<td><input type="image" src="data/<?=$row[filename]?>"></td> 



'Program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누보드 버전 확인 How to gnuboard CMS version check  (0) 2019.09.18
구글 캘린더 API 자바 연동  (14) 2019.04.12
알고리즘의 종류  (0) 2015.10.18
br 태그  (0) 2015.10.18
배치파일 명령어  (0) 2014.03.13

artificial neural network

Deep neural network

인공 신경 회로망

[ Artificial Neural Network , 人工神經網 ] 

약어

ANN 


사람의 두뇌를 모델로 하여 여러 정보를 처리하는 데 있어서 두뇌와 비슷한 방식으로 처리하기 위한 알고리듬. 사람의 두뇌는 뉴론(neuron)이라고 부르는 구조 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경험을 통해 패턴 인식이나 인지 등 여러 특정한 기능들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사람은 눈을 통해 여러 사물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런 영상 정보 처리 작업은 주위 환경이나 여러 사물간의 상관 작용들을 종합적으로 해석하여 사물들을 인식하게 되는데 이러한 복잡한 신경 처 리 과정이 두뇌에서 일어난다. 이러한 두뇌의 정보 처리 과정을 모방한 인공 신경망 알고리듬을 이용한 컴퓨터 분자 설계는 신약의 선도 화합물 검색, 생화학적 목표 물질 동정, 단백질 디자인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인공 신경망 기술은 신약 개발 과정을 단축시키고, 신약 후보 물질의 정보를 분석하고, 새로운 신약 후보 물질의 정보를 예측하는 데 많이 이용되고 있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인공 신경 회로망 [Artificial Neural Network, 人工神經網] (IT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머신 러닝 :

데이터의 생성 양·주기·형식 등이 방대한 빅데이터들을 분석해 미래를 예측하는 기술을 일컫는다. 데이터를 수집, 분석해 미래를 예측한다는 점에서 빅데이터 분석과 유사하지만 컴퓨터 스스로가 방대한 데이터를 수집, 학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는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의 한 분야로, 빅데이터 핵심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포털사이트에서 제공하는 검색어 자동 완성 기능, 엘리베이터에 센서를 달아 속도·출입문 오작동 등의 정보를 분석해 사고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 범죄자와 잠재적 범죄자의 심리나 행동을 분석해 범행이 어떤 시점 또는 어떤 장소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지 예측하는 것 등이 머신러닝의 예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머신러닝 [machine learning]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보통 

pwd 

하면 현재 경로가 표시 됩니다. 

그리고 현재 경로의 포인터는 

./

이렇게 씁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