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수한 CSR 파일이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다면 별다른 문제없이 인증서를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인증서 파일은 신청시 기록한 Email 주소를 통해 인증서를 첨부파일로 수신하게 됩니다.
① 인증서 서버에 복사
도메인.crt와 Chain 폴더를 보실 수 있습니다.
여기에서 필요한 파일은 도메인.crt 와 Chain 폴더 안에 있는 AddTrustExternalCARoot.crt, rsa-dv.chain-bundle.pem 이 두 파일 입니다.
② 웹서버 환경설정
아파치가 설치된 디렉토리로 이동하여 conf 디렉토리내의 httpd.conf 파일의 복사본을 만들어 둡니다.
웹서버 설정의 기본이 되는 파일로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백업본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백업이 완료되면 vi 편집기를 이용하여 httpd.conf 내용중 아래사항을 설정하신 정보에 맞게끔 수정합니다.
httpd.conf 예문
1. <VirtualHost 127.0.0.1:443> 127.0.0.1 를 사용하는 장비의 아이피로 변경
- 443 : SSL 통신포트번호 입니다. 일반적으로 웹서버는 80 포트를 사용합니다.
2. SSLEngine 스위치 off 를 on 으로 변경해 줍니다.
3. SSLCertificateFile / SSLCertificateKeyFile 에는 인증서의 설치경로와 개인키 파일의 경로를 적어 줍니다.
③ root 인증서 경로설정
SSLCACertificateFile 에는 root 인증서 위치를 알려주는 것으로 유저의 브라우저에 신뢰받는 CA리스트가 없을 경우를 위해 경로를 반드시 지정해 주어야 합니다.
④ 웹서버 재실행
설정파일의 정상적인 수정여부를 점검하기 위한 체크 ./httpd -t
수정된 사항의 적용을 위해 아파치 데몬정지 ./apachectl stop
아파치 데몬 활성화 ./apachectl startssl ( 아파치 데몬 활성화는 ./apachectl start 로 가능합니다. 여기에 ssl 를 붙여줌으로서 ssl 를 사용하게 됩니다. )
초기 개인키 생성시 입력했던 패스워드를 기억하시고 계실겁니다. SSL 실행을 위해 패스워드를 물어보는데 이때 개인키 생성시 입력했던 패스워드를 입력하시면 SSL 웹데몬이 활성화 됩니다.
⑤ 웹서버 포트점검
아래와 같이 활성화된 데몬의 포트를 점검해 봅니다.
⑥ 웹서비스 동작상태 점검
인터넷 주소창에 https://사용도메인 와 입력후 해당 페이지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점검합니다.
SSL 설정한 사이트에 대한 정상적인 서비스 상태 점검
페이지 하단을 보시면 열쇠 아이콘이 보이게 됩니다. 아이콘을 클릭하게 되면 위와 같이 인증서 정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